미 공군, 한국 공군과 미 항모의 F-35C 통합하여 FS25 훈련 실시
2025년 3월 13일, Freedom Shield 25의 일환으로 통합 훈련을 진행하는 동안 미국 공군 F-35A Lighting II 2대, 대한민국 공군 F-35A 2대, 미국 해군 VFA-97 “Warhawks” 전투공격비행대 소속 F-35C 1대가 대형을 이루어 비행했다.
이날 비행에서는 USS Carl Vinson (CVN 70) 항모 상공을 비행하는 첫 모습을 연출했다.
Carrier Strike Group ONE의 기함인 미 해군 Nimitz급 항공모함 USS Carl Vinson (CVN 70)에서 발진한 F-35C 항모공격기가 FS25 훈련에 참가하면서 실전에서 적용할수 있는 중요한 해상 요소가 추가되어 전투 지휘관의 우선순위를 달성하기 위해 공군 구성 자산의 전체 연습이 가능해졌다.
이번 비행 훈련에는 미 해군 VFA-97 배속된 F-35C와 버몬트 주 방위군 소속 제134 전투비행대(134th Expeditionary Fighter Squadron) 소속으로 괌의 Anderson 공군기지에 전개한 F-35A 2대 및 한국공군 17 전투 비행단에 배속된 F-35A 2대와 통합되어 FS25를 지원하기 위한 합동 작전을 수행했다. 이 행사는 미국과 한국군의 공중, 지상, 해상 작전을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여, 강화된 연합 방위 태세를 강화했다.
FS25의 공동, 전 영역 특성은 지상, 공중, 해군, 우주, 사이버 요소 전반에 걸친 역동적인 위협에 대응하도록 강요하여 전투 준비 태세를 강화하고 양국이 어떤 위기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합동 훈련 행사에 앞서, 대한민국 공군과 미국 공군 F-35A는 동적 표적 지정 및 공중 급유 훈련에 참여하여 대한민국과 미국 공군이 다양한 위협을 찾아내고, 고정하고, 격파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했다.
제7공군 사령관 David Iverson 중장은 “공군, 공군, 미 해군 5세대 항공기와 함께 전투 작전을 연습함으로써 우리 군의 비교할 수 없는 높은 수준의 준비 태세와 역량을 입증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영역에 걸쳐 첨단 군대와 무기를 통합함으로써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기 위한 우리의 결의와 능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미 해군의 F-35C는 항공모함 운용을 위해 설계됐으며, 스텔스 기능과 첨단 항공전자 장비 덕분에 고도의 위협이 존재하는 합동 작전 환경에서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 F-35C는 비교할 수 없는 스텔스 기능, 첨단 센서 융합, 그리고 크게 향상된 연결성을 제공하여, 다른 플랫폼과 원활하게 전술 데이터를 수집, 분석, 공유할 수 있다.
Freedom Shield 25는 한국과 미국 간의 지속적인 군사적 파트너십을 강조한다. 이 훈련은 1953년 10월 1일 체결된 한미 상호방위조약의 정신에 따라 한국 정전협정을 지원하기 위해 시작됐으며, 연합방위 태세를 강화하고 대응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 훈련의 이 부분은 연합군과 합동군의 전술, 기술, 절차를 발전시켜 전투 준비 태세와 대응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한반도의 지역 평화와 안보의 핵심축으로서 한미동맹의 역할을 강화하고, 양국 간의 확고한 국방 공약을 재확인한다.
CSG-1은 Nimitz급 항공모함 USS Carl Vinson (CVN-70)함을 기함으로 구축함 전대(DESRON) 1, 항공모함 항공대 2(CVW-2), Ticonderoga급 유도 미사일 순양함 USS Princeton (CG 59), 그리고 Arleigh Burke급 유도 미사일 구축함 USS Sterett (DDG 104) 및 USS Ralph Johnson (DDG 114)함으로 구성된다.
CVW-2는 F-35C Lightning II, F/A-18E/F Super Hornet, EA-18G Growler, E-2D Advanced Hawkeye, CMV-22 Osprey 그리고 MH-60R/S Seahawks를 운용하는 9개 비행대로 구성되어 있다.
CSG-1은 미국 7함대 작전 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미국 7함대는 미국 해군에서 가장 큰 전진 배치 함대이며,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 태평양 지역을 유지하기 위해 동맹국 및 파트너국과 정기적으로 교류하고 협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