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육군 제10산악사단 제1기갑여단 제6야전포병연대 제3대대 포병대원들이 2024년 12월 30일 이라크 Al Asad 공군기지에서 M119A3 야포 실사격 훈련을 하고 있다.
이 사격 훈련은 연합군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정밀 포병 기술을 향상시킨다. 연합군은 ISIS를 물리치고 지역의 안보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파트너 부대에 자문, 지원,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M119 곡사포는 영국 L119 경포를 미국이 면허생산하여 미 육군이 사용하는 경량 105mm 곡사포이다. M119는 일반적으로 M1097 또는 M1152 고기동 다목적 차량(HMMWV)으로 견인되며, 헬리콥터로 쉽게 공수되거나 수송기로 공중 낙하산으로 투하할 수 있다.
M119A1는 M119의 사격 통제 및 유지보수를 포함한 사소한 개선이 적용된 형식이며 M119A2는 망원경(M90A3) 또는 파노라마 망원경(M137A2)으로 구성된 향상된 조준 패키지를 가졌다.
M119A3는 디지털 사격 통제 시스템과 자기 위치 파악을 위한 관성 항법 시스템을 갖춘 현대화 버전으로 2013년 4월 노스캐롤라이나 Fort Bragg에 있는 제319야전포병대대의 A포대에 처음 배치됐다.
제101공수사단 제320야전포병연대 제1대대의 알파 포대는 2013년 7월 처음으로 업그레이드된 M119A3 곡사포를 받아 2014년 2월 초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에 배치됐으며 실제 전장에서 M119A3 곡사포를 운용하는 첫 번째 포병부대가 됐다.
디지털 방식으로 업그레이드된 M119A3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성 요소 업그레이드, 내비게이션용 GPS, 디지털 사수 디스플레이, 그리고 발사 데이터와 포탄을 받는 과정을 가속화하기 위한 각 포와 사격 지휘소 간의 디지털 통신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소대 발사대에는 더 크고 디지털 방식의 M777A2 곡사포도 배치됐지만 M119A3는 더 빠르고 가벼우며, 사격 방향을 변경하기가 더 쉽다는 점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A3 모델은 A2 모델의 수동 기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기능이 상실되는 상황에서도 승무원이 아날로그 작동 모드로 쉽게 전환하여 임무를 계속할 수 있다.
견인 포병 시스템 프로젝트 매니저(PM TAS : Project Manager for Towed Artillery Systems)는 디지털 사격 통제, -25°F에서 -51°F(-32°C에서 -46°C)로 저온 성능 향상, M20 포신 등 M119A3에 대한 여러 가지 업그레이드를 개발했다. 새롭게 설계된 시스템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대부분의 구성 요소를 제거한 새로운 buffer와 recuperator를 포함한 일부 구성 요소를 수정 및 단순화하고, 반동 길이를 25인치(64cm)로 고정하는 SLOS(Suspension Lockout System)를 추가했다. . 새로운 시스템은 비용을 절감하고, 124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설계 변경으로 인해 부품 수를 40% 줄여 75개로 하고, 47개의 부품을 재사용하면 현재 시스템의 65%가 구성되므로 전체 중량 20kg을 줄일 수 있는 28개의 새로운 부품을 제조했다.
'땅 > 견인포 & 박격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173 공수여단 박격포소대 실사격 훈련 (0) | 2025.01.23 |
---|---|
프로그래밍탄 사용 근거리 자주 방공포 시스템 SA-35MM (0) | 2025.01.19 |
Super Garuda Shield 24에 등장한 인도네시아 육군 KH-178 야포사격 (2) | 2024.09.06 |
하와이 주둔 미 육군 포병연대 화력 지원 인증 훈련 실시 (0) | 2024.01.09 |
미 육군 Iron Gray 기동군, 프랑스군과 합동 박격포 사격훈련 (0) | 2023.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