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항공모함41 미 해군의 차세대 항모 전력 Gerald R. Ford급 종합 고찰 차세대 해군력: Gerald R. Ford 급 항공모함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 Gerald R. Ford 급 항공모함은 미국 역사상 가장 야심차고 진보적인 해군 공학의 위업을 상징합니다. 이 항공모함들은 다음 세기까지 미국 해군의 주력 함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해상전을 재정의할 뿐만 아니라 미국 역사를 만든 사람들의 유산을 기리고 있습니다. 기술적 혁신에서 상징적인 헌신에 이르기까지, 여섯 척의 계획된 수퍼 항모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USS Gerald R. Ford (CVN-78) : 현대적 혁신의 기념비 2017년에 취역한 Gerald R. Ford 함은 동급 함정 중 최초로 해군 기술의 도약을 구현합니다. 워터게이트 사건 이후 정치적 격변의 시기를 겪으면서 국가를 이끌었던 제럴.. 2025. 1. 18. 마지막 여정을 떠나는 미 항모 John F. Kennedy 마지막 남은 재래식 동력 항공모함인 Ex-USS John F. Kennedy (CV-67)함은 형제애의 도시 (City of Brotherly Love : 미국에서 해군과 해병대가 모두 창설된 지 250년이 된 도시)에 정박해 있던 미국 군사력의 확실한 상징입니다. 1월 16일 추운 목요일, Ex-JFK함을 3척의 예인선이 잡아당기면서, 4번 부두에서 계류줄이 풀렸고, 이 항모는 Delaware 강을 따라 텍사스 Brownsville로 가는 마지막 항해를 시작했습니다.이날 필라델피아의 부두에는 Kitty Hawk급 항공모함인 Ex-USS John F. Kennedy (CV-67)함의 마지막 항해를 보기 위해 몇몇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거의 40년 동안 현역으로 복무한 베테랑들은 영하의 기온을 무릅쓰고 .. 2025. 1. 18. 하마스 및 후티 전투 벌인 Eisenhower 항모 PIA위해 도크로 미 해군 Nimitz급 항공모함 2번함인 USS Dwight D. Eisenhower (CVN 69)함이 1월 8일 계획된 점진적 가용성(PIA) 정비를 받기 위해 Elizabeth River를 건너 Norfolk Naval Shipyard로 향하고 있다. 2023년부터 해군은 IKE항모의 서비스 수명 연장을 고려하고 있다.이 항모는 원래 2029년경에 Gerald R. Ford급 항공모함인 신형 USS Enterprise (CVN-80)로 대체될 예정이지만 원자로 해체 및 퇴역의 정확한 날짜는 국방부의 자금 지원 고려 사항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높기때문이다.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수명은 약 50년이다. 1번함 USS Nimitz (CVN 68)함의 퇴역에 대한 추정치는 2022년.. 2025. 1. 11. 항모로 탈바꿈한 일 해자대 Kaga함 여러 모습들 2015년 진수하고 3년만인 2018년 항모로 전환이 발표된 Kaga함은 해상자위대 수상함 최초로 구일본해군의 항공모함이었던 Kaga를 부여했다. 이로써 카가는 과거 대전기 항모의 이름을 물려받은 일본의 첫 항모가 될 예정이다. 1941년 12월 7일 일본이 하와이 진주만의 미군 기지를 공격할 때 선봉에 섰던 Kaga는 일본의 항공모함 아카기, 소류, 히류와 함께 1942년 6월 벌어진 미드웨이 해전에서 격침당한 4척 중 하나이다. Kaga함은 제일 많이 공격당해 걸레가 되어 태평양에 가라앉았지만 "제국의 혼네"를 숨기고 있는 일본은 미드웨이 패전의 상징적인 항모로써 70년만에 새로 부활시켜 중공과 대치중인 해상을 담당하는 사세보항에 배치하여 의도적으로 Kaga라는 명칭을 부여했다는 설이 많다. 실상은.. 2025. 1. 10. 항모 도약 앞둔 일 자위대 Kaga함, F-35B 시험 후 샌디에고항 입항 일본의 Izumo급 다목적 구축함 JS Kaga (DDH-184)함이 지난 11월 8일 오전, 샌디에이고의 North Island 해군 항공 기지와 니미츠급 항공모함 Carl Vinson (CVN-70)함을 지나 입항하고 있다.항모도 도약을 앞둔 JS Kaga (DDH-184)함은 남부 캘리포니아 해상에서 3주 동안 F-35B Lightning II 공격기의 운용 시험을 한 후에 샌디에고항을 방문했다.미국과 영국의 시험 조종사들은 F-35B 공격기의 단거리 이륙 및 수직 착륙(STOVL)을 수행하여 JS Kaga (DDH-184)함의 최근 개조 사항을 점검하고 곧 시작할 비행 작전을 준비했다. 일본 최대 규모의 군함 중 하나로 F-35B 운용시험을 미국에 3개월간 배치됐던 JS Kaga (DDH-.. 2025. 1. 10. 태평양 바다와 하늘을 수호하는 George Washington 항모 항해중 2024년 11월 6일, Nimitz 급 항공모함 USS George Washington (CVN 73)함이 태평양을 항해하고 있다. George Washington (CVN 73) 항모는 7함대 최고의 전진 배치 항공모함으로,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 태평양 지역을 유지하려는 미국의 오랜 노력의 상징이며, 미 해군 최대 규모의 전진 배치 함대에서 동맹국 및 파트너와 함께 작전을 수행한다. 2024. 11. 7. 일 항공모함 개조 JS Kaga함에서 F-35B 시험위해 미국으로 출항 일본, 샌디에이고 앞바다에서 JS 가가와 함께 F-35B 항공기 시험 비행일본 해상자위대(JMSDF)는 10월 5일부터 11월 18일까지 캘리포니아에서 헬리콥터 항공모함 JS Kaga가 F-35B Lightning II 공격기로 비행 작전을 수행한다고 발표했다. Izumo급 헬리콥터 모함(일 자위대는 '헬리콥터 구축함'으로 분류) JS Kaga (DDH 184)가 F-35B 전투기를 운용하기 위해 개조 작업을 거쳤다.9월 10일 발표된 일본 해상자위대 보도자료에 따르면, 구축함 Kaga의 특수 개조와 관련하여 미 해군의 지원을 받아 작전 시험이 실시된다. 시험의 목적은 “이즈모급 구축함에서 F-35B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F-35B의 단거리 이륙, 수직 착륙, 선상 운용 등의 시험이.. 2024. 9. 13. 미 항모 Abraham Lincoln 항모 태평양 항진 미 해군 HSM-71 헬리콥터 해상 타격대대의 MH-60R Sea Hawk 헬기와 HSC-14 헬리콥터 해상 전투대대에 배치된 MH-60S Sea Hawk 헬기가 Nimitz급 항공모함 USS Abraham Lincoln (CVN 72)함에서 발진, 함 선두에서 비행 작전을 수행하는 가운데 Lincoln함이 8월 2일 태평양을 항해하고 있다. 제3항모강습단의 기함인 Abraham Lincoln함은 미 제7함대 작전 지역에서 일상적인 작전을 수행 중이다. 미 7함대는 미 해군에서 가장 큰 전진 배치 함대로,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 태평양 지역을 수호하기 위해 동맹국 및 파트너와 일상적으로 교류하고 작전을 수행한다. 일촉즉발의 이스라엘과 이란의 승부를 앞둔 가운데 Abraham Lincoln 항모는 곧바로 페.. 2024. 8. 2. Ronald Reagan (CVN 76)항모 San Diego항 도착 2024년 7월 23일 미 해군 Nimitz급 항모 USS Ronald Reagan (CVN 76) 함이 샌디에고의 North Island 해군항공기지에 입항했다. Ronald Reagan (CVN 76)함과 승무원들은 일본 요코스카에 전진 배치될 예정인 George Washington (CVN 73)함과 임무 교대를 완료하는 중이다.이곳에서 Ronald Reagan 항모와 George Washington 항모의 승조원들은 배를 갈아탄 후 일본으로 향할 예정이다.앞서 올린 사진 참고 : https://viggen.tistory.com/entry/24071103 일본 배치 앞둔 George Washington 항모 San Diego 도착2024년 7월 10일 항모 USS George Washington.. 2024. 7. 24. 일본 배치 앞둔 George Washington 항모 San Diego 도착 2024년 7월 10일 항모 USS George Washington (CVN 73)함이 샌디에고의 North Island 해군항공기지에 입항했다. 조지 워싱턴 항모와 승무원들은 일본 요코스카 함대 활동에 전진 배치된 미 해군 USS Ronald Reagan (CVN 76)함을 대체하여 모항 변경을 완료하는 중이다. 2015년 5월 Ronald Reagan 항모와 임무를 교대한 후 본토로 복귀한 George Washington 항모는 2017년부터 2023년까지 Refueling and Complex Overhaul (RCOH)를 거친후 2024년 5월 18일 Norfolk 항을 출항, 미 해군 남부사령부/미 제4함대의 Southern Seas 2024 전개를 2개월에 걸쳐 수행한 후 이날 샌디에고항에 입.. 2024. 7. 11. 부산항에 정박중인 미 해군 항공모함 Theodore Roosevelt (CVN-71) 미국 해군 항공모함 Theodore Roosevelt (CVN-71)함을 중심으로 하는 제9항모강습단이 6월 22일 오전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했다. Roosevelt (CVN-71) 항모는 작전 준비태세와 한미동맹을 지원하기 위해 예정된 항구 방문을 위해 대한민국에 입항했다. Theodore Roosevelt (CVN-71)함은 제9항모강습단의 기함으로 현재 미 7함대에서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 태평양을 지원하기 위해 일상적인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부산항에 처음으로 입항한 Roosevelt (CVN-71) 항모는 지난해 11월 USS Carl Vinson (CVN-70) 항공모함이후 약 7개월으로 지난 6월 한미 국방장관회담과 지난 한미 핵협의그룹(NCG) 3차 회의 시 미국이 약속한 항구적이고 철통같.. 2024. 6. 27. 처음으로 부산항 입항한 미 항모 Theodore Roosevelt 미국 해군 항공모함 Theodore Roosevelt (CVN-71)함을 중심으로 하는 제9항모강습단이 6월 22일 오전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했다. Roosevelt (CVN-71) 항모는 필리핀해에서 Valiant Shield 24 연합훈련을 수행한 후 한국으로 이동했으며 USS Abraham Lincoln (CVN-72) 항모와 임무를 교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항에 처음으로 입항한 Roosevelt (CVN-71) 항모는 지난해 11월 USS Carl Vinson (CVN-70) 항공모함이후 약 7개월으로 지난 6월 한미 국방장관회담과 지난 한미 핵협의그룹(NCG) 3차 회의 시 미국이 약속한 항구적이고 철통같은 확장억제 공약을 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뤄졌다. Roosevelt (.. 2024. 6. 22. 임무배치 앞둔 Abraham Lincoln 항모 동태평양 항진중 5월 26일 미 해군 Nimitz급 항공모함 USS Abraham Lincoln (CVN 72)함이 임무 배치를 앞두고 통합훈련중 미 3함대관할 동태평양 해상을 항해하고 있다. Abraham Lincoln항모는 3 항모타격군 Carrier Strike Group Three의 기함으로 3함대 작전 지역에서 항모타격군의 준비태세와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통합 훈련을 진행 중이다. 2024. 6. 8. 비행갑판에 작별 인사하며 출항하는 Ronald Reagan 항모 5월 10일 미 해군의 전진 배치 항공모함으로서 마지막으로 일본 요코스카를 출항, 도쿄만을 지나는 미 해군 항공모함 Ronald Reagan(CVN 76)함의 수병들이 '다시 만나요'라는 뜻의 일본어 히라가나 문자 ' またね'를 비행갑판에 만들어 작별 인사를 했다. 제5항모강습단의 기함인 USS Ronald Reagan (CVN 76) 항모의 일본 출항은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 마지막으로 수행하는 해상 초계 일정의 시작을 의미한다. 주일 미 대사인 Rahm Emanuel는 5월 16일 레이건 항모의 마지막 출항에 대해 “미국에서는 누가 1%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진정한 척도는 얼마나 많은 부를 얻었느냐가 아니라 자신보다 더 큰 무언가를 위해 얼마나 많은 봉사를 했느냐에 달려 있습.. 2024. 5. 16. 지중해 항해 Eisenhower항모, 프 항모 Charles De Gaulle 만나 5월 2일 지중해에서 미 해군 니미츠급 항공모함 USS Dwight D. Eisenhower (CVN 69)함과 와 프랑스 항공모함 FS Charles De Gaulle (R91)함이 Photex를 펼치며 교차 통과 항진을 실시했다. Eisenhower (CVN 69) 항모는 Arleigh Burke급 유도 미사일 구축함 USS Gravely (DDG-107)함과 지난 4월 26일 금요일 수에즈 운하를 통과한 후 크레타 섬의 Souda 만을 방문하기 위해 동부 지중해에 입항했다.IKE 항모는 2023년 10월 14일에 Norfolk항을 출항, 10월 28일 지브롤터 해협을 통과하고 11월 4일 수에즈 운하를 통과한 후 아덴만과 홍해 등 미 5함대 관할 작전지역에 배치됐다. 로이드 오스틴 국방부 장관은 .. 2024. 5. 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