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연합

종전 73년만에 고국 품으로, 한국전 유해 송환식. feat- 막대한 군사 기밀 요청 의원 보좌관이 있는 나라에 탄식만...

by viggen 2023. 7. 26.

2023년 7월 25일 하와이 Pearl Harbor-Hickam 합동 기지에서 열린 한국전 유해 송환식에서 대한민국 최호종 상사가 신원이 확인된 삼촌의 유해를 들고 있다.

Pearl Harbor-Hickam 합동 기지에서 열린 한국전 유해 송환식의 목적은 유해 송환과 한미 정전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유해 송환 노력은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 한국전 신원 확인 프로젝트 (Defense POW/MIA Accounting Agency Korean War Identification Project)의 일환이다. 다양한 출처에서 입수한 200여 구의 국군 전사자 유해가 DPAA의 실험실에 보관되어 있었으며, 여러 차례의 합동 감식과 수년간의 협업을 거쳐 2012년, 2016년, 2018년, 2020년, 2021년 행사를 통해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대한민국으로 송환됐다.

73년만에 한국으로 돌아오는 유해는 총 7구이며,이중 신원 확인이 완료된 유해는 1구이다.

하와이 히캄 공군기지에서 25일 열린 '국군전사자 유해인수식'에는 50여명이 참가했는데 인수단원들은 23일 공군 다목적 공중급유 수송기(KC-330)를 이용하여 하와이로 출발했었다.

 

국방부는 "이번 행사는 자유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호국영웅의 헌신을 끝까지 기억하겠다는 '국가무한책임' 의지를 구현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미 국방부 전쟁포로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 임시 안치 중인 국군전사자 7위(位)를 최고의 예우를 다해 조국으로 모시기 위해 계획됐다"고 밝혔다.

 

7위의 전사자는 북한지역에서 발굴된 유해의 신원을 확인하는 '6·25전쟁전사자 확인 프로젝트(KWIP)'를 통해 수습됐다. KWIP에는 북한이 단독으로 발굴해 미국으로 송환하거나 미군이 북한에서 공동으로 발굴한 유해가 모두 포함된다.

 

특히 이번에 봉환되는 유해 중 함경남도 장진에서 수습한 유해 1구(K208)의 신원은 고(故) 최임락 일병으로 확인됐다.

1931년생인 고인은 1950년 8월경 부산에서 입대 후 인천상륙작전 등 여러 격전지에 참전했으며 1950년 12월 12일 장진호전투에서 19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고(故) 최상락 하사의 동생이기도 하다. 최상락 하사는 북한군을 저지하며 동해안 병참기지인 포항을 사수한 영덕-포항전투에서 1950년 8월 21세로 전사했다.

북·미 공동발굴을 통해 북한 지역에서 발굴한 국군전사자 유해가 미국에서 우리나라로 최초로 봉환된 건 2012년이다. 국방부에 따르면 2012년 이후 현재까지 미국에서 우리나라로 돌아온 유해는 이번에 봉환하는 유해 7구를 포함해 총 313구다. 이 중 19분의 신원이 최종 확인됐다.

 

봉환 유해가 도착하는 26일 저녁 서울공항에서는 '국군전사자 유해봉환식'이 거행될 예정이다. 이후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으로 봉송돼 신원확인을 위한 정밀감식, 유전자(DNA) 검사 등을 거친다.

 

국가를 지키기위해 한몸을 불사르며 유해가된 후 73년만에 고국으로 돌아오는 유공자가 있는 반대쪽에는 6,25 남침을 일으킨 "동족 살인마 김일성"을 추종하는 종북 주사파 간첩들이 자유 대한민국에서 온갖 자유와 권리를 다 누리면서도 뻔뻔한 위장술속에 간첩질과 국가 전복을 위한 반역짓을 서슴없이 벌이고 있다. 

 

특히 야당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국회에 입성한 후 그 지위를 사적으로 활용하여 온갖 군사 기밀을 요구한 정황이 포착되어 수사중이라는 보도에 탄식만이 나올 뿐이다. 

친일파 척결을 입에 달고 사는 좌파들을 한번에 살처분할 수 있는 친북 종북 주사파 척결이 먼저 있어야 나라가 살 것이다.

지난 5년간 삶은 소대가리 일당이 처참하고 분해시켜버린 자유 대한민국의 복구를 위해 종북주사파의 척살 명령이 우선해야할 것이다.

 

野보좌관, 軍에 기밀 700여건 요구...‘참수부대’ 정보도 받아갔다
국정원, 軍기밀 유출 혐의로 내사

군사기밀을 유출한 혐의로 국가정보원 내사를 받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중진 의원의 친북 성향 전직 보좌관 A씨가 국방부에서 ‘김정은 참수 부대’ 정보를 받아 간 것으로 확인됐다. A씨가 지난 3년간 국방부에 요구한 군사기밀도 700여 건에 달해, 국방부가 전수조사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A씨는 최근 자신을 둘러싼 논란 속에서도 민감한 대북 정보를 다루는 국회 정보위 소속 다른 민주당 의원실에 채용 지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올해 1월 2일 국방부에 ‘김정은 참수 부대 장비 현황’을 요청했다. 1월 5일 A씨는 군수참모처장에게 ‘○특수임무여단 주요 장비 현황’을 보고받았다. ‘기관단총 ○정’ ‘저격용 소총 ○정’ ‘야시 장비 ○대’ ‘항공기 작전차 ○대’ ‘특수작전용 무전기 ○대’ 등 병력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기밀 자료들이었다.

2017년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응해 유사시 북 지도부 제거를 목적으로 창설된 ‘김정은 참수 부대’의 규모와 장비 현황은 공개된 적 없는 군사기밀이다. 2022년 북한 공작원이 현직 참수 부대 소속 장교를 포섭해 2급 군사기밀을 빼내려다 당국에 적발된 적이 있을 정도다.

A씨는 참수 부대 장비 현황을 의원에게 보고하지 않았고, 국방위 질의 자료로 사용하지도 않았다. 의원실에서는 A씨가 이런 자료를 보고받은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운동권 출신으로 대학 때부터 민주노동당 활동을 했던 A씨는 과거 친북 성향 매체 기자로 일하며 “초등학생을 비롯해 우리 국민들의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호감도가 급성장했다” 같은 김정은 찬양 글을 다수 쓴 전력이 있다. A씨는 작년 10월 우리 군의 ‘현무 미사일 관련 합참 지통실과 미사일전략사 지통실 교신 자료’를 비롯해 현무 미사일의 속도, 고도, 사거리 같은 세세한 정보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파 공작 부대 운용 예산’ 같은 민감한 기밀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A씨에 대해 민주당 보좌진 사이에서조차 “상임위 질의 자료로 쓰지도 않으면서 민감한 자료들을 너무 많이 요구한다”는 논란이 불거졌다고 한다.

A씨의 이러한 기밀 자료 요구 내역은 국회 시스템에 기록돼 있다. 문제는 기록에 남지 않는 2급 기밀이다. 2급 비밀 취급 인가를 받은 A씨는 대면·구두 보고를 통해서만 자료를 받는 2급 기밀을 수시로 국방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3급 기밀은 보고 시 메모가 가능하지만, 2급 기밀부터는 의원들도 보고를 받기 전 유출 금지 서명을 하고 메모도 불가능하다. 눈으로만 열람이 가능하다. 국회 관계자는 “A씨가 대면 보고 과정에서 자료들을 메모하고 사진을 찍으려 해 제지를 받거나 논란이 된 것으로 안다”고 했다.

국방부는 A씨가 3년간 국방부에 요청한 민감한 자료가 2급 기밀을 포함해 700여 건이 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자료 반출 과정에 위법이 없었는지 최근 자체 조사에 들어갔다. A씨에게 참수 부대 현황을 보고한 군 관계자는 “A씨의 전력은 전혀 몰랐다”며 “국회 공식 절차를 거쳐 자료 제출을 요구해 왔기 때문에 우리로서는 보고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실제 2013년 통합진보당 소속 의원 6명이 ‘한미 공동 국지 도발 대비 계획’ ‘연도별 주한미군 병력 이동’ 같은 군사기밀 63건의 자료 제출을 국방부에 요구하며 논란이 되기도 했다.

A씨는 국정원 내사 사실이 알려져 지난 3월 소속 의원실에서 해고된 뒤, 최근 국회 정보위 소속 다른 민주당 의원실에서 채용 면접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위는 국방위보다 더 민감한 국정원의 대북 정보를 다루는 상임위다. A씨는 채용이 되지 않았다. A씨 남편은 통진당 출신으로 2018년 주한미군 철수를 공약으로 지방선거에 출마하고, 2021년 국보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다. 국정원은 A씨가 남편을 통해 군사기밀을 유출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본지 전화를 받지 않았다.(조선일보 기사)

 

"더러운 평화가 낫다"고 지꺼린 머리에 우동사리만 박힌 놈들이 있는 한 73년전 참상은 되풀이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