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늘/수송 대잠 CSAR 특수전 헬기117

육,해군 훈련용 헬기 Bell 505 Jet Ranger X 첫공개 지난 2022년 5월 6일 도입 계약이 체결된 육·해군 훈련용 헬기 Bell 505 Jet Ranger X이 논산 시민운동장에서 열린 KoRex 24 전시회에서 공개됐다. 방위 사업청은 2022년 5월 16일 Bell Textron Asia와 Bell 505 헬기 40여대를 1천700억에 도입하는 기초비행훈련용 헬기사업 구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힌 바 있다. 기초비행훈련용 헬기사업은 육·해군 조종사 훈련용 헬기 40여 대와 시뮬레이터 8대를 2025년까지 도입하는 사업으로 2023년부터 육군과 해군에 순차 배치돼 조종사 입문과정에 투입될 예정이다. 현재까지 십여대가 인도됐고 2025년 전력화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행훈련 시뮬레이터는 국내업체가 개발·제작해 납품한다. 이번에 도입하는 헬기는 민수용 B.. 2024. 3. 24.
미 공군과 해병대 합동 헬기 공중급유 훈련통해 수색구조능력 확장 미 공군 제33구조비행대 소속 HH-60G Pave Hawk 전투수색구조헬기가 2024년 3월 13일 태평양 상공에서 합동 수색 및 구조 훈련 임무 중 미 해병 VMGR-152 공중급유기 수송대 소속 KC-130J Super Hercules 와 헬기 공중급유 (Helicopter Air-to-Air Refueling)을 실시했다. HAAR 작전을 통해 고립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수색 및 구조 자산을 공중에 더 오래 유지하여 임무 비행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2024. 3. 15.
공군, 「함상 이·착함 자격 유지 및 획득훈련」 실시 - 거문도 인근 해상에 헬기 투입해 해군 ‘마라도함’과 해상임무 역량 강화 공군 공중기동정찰사령부(이하 ‘기동정찰사’)는 2월 28일(수) 거문도 인근 해상에서「함상 이·착함 자격 유지 및 획득훈련」을 실시했다. ‘함상 이·착함 자격’(DLQ : Deck Landing Qualification)이란 헬기 조종사가 함정의 비행갑판에 안전하게 이·착함할 수 있는 자격을 의미한다. 함정을 운용하는 해군과 헬기를 운용하는 공·육군, 경찰·소방청 등은 함상 이·착함 자격 협정서를 체결하고 분기마다 합동훈련을 실시한다. 이 훈련을 통해 취득한 함상 이·착함 자격은 6개월간 유지된다. 이날 훈련에는 공군 제6탐색구조비행전대(이하 ‘6전대’) 소속 HH-47 헬기 조종사 3명이 참가했다. 이번 훈련은 헬기 조종사의 해.. 2024. 2. 29.
영국 해병 Commandos 탑승 EH-101 Merlin 헬기 Bataan함 전개 2024년 2월 25일, 영국 왕립 해병대가 AgustaWestland AW101 (EH101) Merlin 헬기를 타고 지중해에 배치된 미 해군 Wasp급 강습상륙함 USS Bataan (LHD 5)함에 전개하는 연합훈련을 실시했다. Bataan Amphibious Ready Group은 동부 지중해에서 나토 사령부 산하로 배속되어 연합 해상 사령부의 Standing NATO Maritime Group 2 및 터키 해군과 함께 일련의 단기 경계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2024. 2. 25.
Steadfast Defender 2024 연합훈련 참가 MH-53E 소해헬기 NATO의 대규모 연합훈련 Steadfast Defender 2024에 참가한 미 해군 HM-15 헬리콥터 기뢰대응비행대에 소속된 MH-53E Sea Dragon 헬기가 2024년 1월 26일 대서양에서 비행 갑판 운용 능력 점검 훈련 중 도크형 상륙함 USS Gunston Hall (LSD 44)함의 비행갑판에서 이착함 비행을 실시했다. 십 년 만에 실시되는 NATO의 최대 규모의 훈련인 Steadfast Defender 2024는 유럽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동맹국 전체에서 신속하게 병력을 배치할 수 있는 NATO의 능력을 보여줄 것입니다. MH-53E Sea Dragon은 미 해군의 전용 공중 기뢰 대응 항공기(AMCM Airborne Mine Countermeasures) 플랫폼으로 CH-53 Se.. 2024. 1. 28.
오만만에서 MH-53 헬기, 기뢰 폭파위한 사격 훈련 실시 오만만에 배치되어 있는 미 해군 원정 해상기지 USS Lewis B. Puller (ESB 3)의 비행갑판에서 HM-15 헬리콥터 기뢰대응비행대에 소속된 MH-53E Sea Dragon 헬기가 출격하여 기뢰를 폭파하기 위한 해상표적 실사격 훈련을 했다. USS Lewis B. Puller (ESB 3)함은 중동 지역의 해양 안보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미 제5함대 작전 지역에 배치되어 있다. MH-53E Sea Dragon 헬기는 S-80M 기뢰대응 헬기의 미 해군 제식명으로 50대가 제작됐다. MH-53E Sea Dragon은 미 해군의 전용 공중 기뢰 대응 항공기(AMCM Airborne Mine Countermeasures) 플랫폼으로 CH-53 Sea Stallion 대형 수송헬기의 파생형이다. .. 2024. 1. 21.
미 주방위군 코소보 평화유지군 KFOR 33 배치전 훈련 미육군 아이오와, 오클라호마, 루이지애나 주방위군의 항공 부대로 구성된 Task Force Voodoo 대원들이 1월 19일 Ft. Cavazos에서 UH-60M 수송헬기를 이용, 최종 훈련에 참가하고 있다. 항공 대원들은 코소보에서 NATO의 평화 유지 작전KFOR 33로써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곧 이동할 준비를 하고 있다. 2024. 1. 21.
미 해군 MH-60R 및 MH-60S 대잠헬기 편대비행 실시 미 해군 HX-21 항공 시험 및 평가 비행대대의 MH-60R 및 MH-60S 대잠헬기가 2023년 12월 21일 메릴랜드 남부의 Patuxent River 해군항공기지와 주변 지역 상공에서 편대 비행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024. 1. 19.
임무배치 앞두고 상륙함의 UH-1Y 야간 비행작전 훈련 2024년 1월 9일, 태평양에서 임무 배치전 통합훈련중인 Boxer Amphibious Ready Group의 일원인 San Antonio급 상륙수송함 USS Somerset (LPD 25)함에서 VMM-165 강화형 중형 틸트로터 비행대 “White Knights” 소속 UH-1Y Venom 헬기들이 1월 9일 제15해병 원정대(MEU) 정찰중대에 배치된 해병대원들을 탑승시키고 야간 비행작전 훈련을 실시하고있다. Boxer Amphibious Ready Group은 강습상륙함 USS Boxer (LHD 4), 상륙수송함 USS Somerset (LPD 25) 및 USS Harpers Ferry (LSD 49)로 구성됐다. 2024. 1. 14.
주일 미 해병 Iwakuni 기지 신년축하 비행 실시 자위대 US-2 비행정 2023년 1월 5일 일본 Iwakuni 해병항공기지에서 열린 일본 해상자위대 신년 비행에서 해상자위대 ShinMaywa US-2 비행정이 다양한 비행을 펼치며 2024년의 시작을 축하했다. 일본 해상자위대 신년 비행은 일반적으로 1월 초에 실시되며, 올해 비행은 US-2의 능력과 함대 해상자위대 31비행단의 신속하고 성공적인 수색 및 구조 임무 수행 능력을 과시했다. 이와쿠니에서 새해 축하 훈련이 열린 것은 9년 만에 처음이다. 신메이와 US-2는 일본의 대형 단거리 이착륙 수륙양용 비행기로, 경계층 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STOL 및 실속 억제 성능을 향상시켰다. 수상비행기 전문업체인 ShinMaywa (과거 Shin Meiwa)에서 생산한 이 비행정은 1970년대에 도입된 구형 Shin Meiwa U.. 2024. 1. 10.
실전적 도시작전 훈련 수행하는 미 해병대 헬기들 2024년 1월 7일 버지니아주 Fort Barfoot에서 실시된 실전적 도시 훈련 (RUT : Realistic Urban Training ) 연습에 참가한 미 해병대 24 해병원정군에 배속된 VMM-365 강화형 중형 틸트로터비행대 소속 CH-53E Super Stallion 대형수송헬기와 AH-1Z Viper 공격헬기 및 UH-1Y Venom 다목적 수송헬기 등이 활주로에 착륙하고 있다. RUT는 제24해병대원정대 대원들이 낯선 환경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해병 항공 지상 태스크포스 부대를 통합하며, 특수 작전 수행 능력을 인증받기 위한 훈련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024. 1. 8.
VMX-1 소속 CH-53K 외부 인양 능력 시험 2021년 12월 16일, 해병 작전 시험 및 평가 제1전대(VMX-1) 소속 미 해병대원들이 해병대 Camp Lejeune 기지에서 CH-53K King Stallion의 성능을 시험하고 있다. VMX-1 요원들은 상륙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CH-53K의 외부 양력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급상승 비행 작전을 수행했다. CH-53K 헬기는 110해리 이상의 거리를 27,000파운드의 화물을 외부에 매달고 수송할 수 있으며, 최대 외부 양력은 36,000파운드로 기존 'E' 항공기의 3배에 달한다. CH-53K King Stallion은 CH-53E Super Stallion을 대체하기 위해 현재 생산 및 시험 중인 대형 수송 헬리콥터이다. 2024. 1. 3.
LAV-25 장갑차 쉽게 공수하는 CH-53K King Stallion 헬기 미 해병대 작전시험평가대대(VMX) 1 소속 해병들이 2022년 4월 27일 노스캐롤라이나주 Camp Lejeune 해병대 기지 상공에서 CH-53K King Stallion 헬기로 LAV-25 (Light Armored Vehicle 25)를 슬링 공수하고 있다. 해병대의 최신 대형 헬리콥터인 CH-53K King Stallion은 최대 36,000파운드의 장비를 들어 올리고 최대 30명의 병력을 태울 수 있으며, 반자동 조종을 위한 컴퓨터 플라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024. 1. 3.
무척 비싼 미 해병 CH-53K King Stallion 헬기 JLTV 슬링공수 2018년 1월 18일, 메릴랜드주 Patuxent River 해군 항공 기지에서 미 해병대의 차세대 대형수송헬기 CH-53K King Stallion 이 Joint Light Tactical Vehicle (JLTV) 장갑차량을 슬링 공수하며 CH-53K의 수송 능력을 점검했다. Sikorsky CH-53K King Stallion (Sikorsky S-95)은 Sikorsky Aircraft에서 설계 및 생산한 대형 수송 헬리콥터로 1966년부터 지속적으로 운용해 온 CH-53 시리즈 헬리콥터를 발전시킨 모델이다. 주요 특징은 출력이 향상된 7,500마력(5,590kW) 엔진 3개 장착, 새로운 복합 로터 블레이드, 이전 모델보다 더 넓어진 기내가 특징이다.현재 미군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헬리콥터이다.. 2024. 1. 3.
미래전 운용대비 CH-53K King Stallion 활용 전술 개발 2021년 11월 21일, 노스캐롤라이나주 Camp Lejeune에 미 해병대 제1작전시험평가대대(VMX-1)가 운용하는 미 해병대 CH-53K King Stallion를 이용하여 현대화중인 미 해병대가 새로운 위기나 비상사태에서 전 세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CH-53K 헬기의 활용 전술, 기술 및 절차를 개발하기 위한 초기 작전 시험 및 평가(CH-53K IOT&E : initial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를 수행하고 있다. 2024.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