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늘/전투기 & 공격기

공군 타우러스(TAURUS) 장거리 순항미사일 실사격 성공

by viggen 2024. 10. 11.

- 400km 날아가 표적 명중…강력한 대북억제력 과시
- E-737 항공통제기, F-35A 전투기, 천궁-Ⅱ 등도 참가해, 적 순항미사일 대응절차도 숙달

 

공군은 10월 10일 서해 상공에서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타우러스(TAURUS: Target Adaptive Unitary and dispenser Robotic Ubiquity System)의 실사격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날 F-15K 전투기에서 발사된 타우러스 미사일은 약 400km를 날아가 서해상 사격장에 설치된 표적을 정확히 명중했다.
이번 실사격은 지난 8일과 10일 두 차례 실시됐다.


타우러스 미사일은 지난 2016년 전력화됐다. 2017년,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감행한 직후에 실사격 장면을 공개하며 우리 군의 강력한 대북억제력을 대내외에 과시하기도 했다.

 

타우러스 미사일의 정식명칭은 ‘KEPD(Kinetic Energy Penetration & Destroyer)’다. 최대 사거리는 약 500km에 달한다. 북한의 도발징후가 포착되면 적 방공망 밖에서 적 도발원점과 핵심시설을 정밀타격할 수 있기 때문에 조종사와 전투기의 생존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스텔스 기술이 적용되어 적 레이더망에 탐지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적 전파교란 상황에서도 목표물 반경 3m 이내로 정확히 타격할 수 있다. 두께 3m에 달하는 철근 콘크리트를 관통할 수 있는 파괴력도 지니고 있어 한국형 3축 체계 중 하나인 ‘킬 체인(Kill Chain)‘에 있어 핵심전력을 담당하고 있다.

 

 

공군은 이날 실사격을 통해 F-15K 전투기와 타우러스 미사일 간의 체계통합과 안전분리 확인 등 타우러스 운영능력을 검증하며, 타우러스 미사일이 가진 강력한 대북억제력을 재확인했다.

특히, 이날 실사격 훈련과 함께 공군 각 공중전력과 방공전력들이 적 순항미사일에 대한 대응 절차를 숙달했다. F-15K 전투기에서 발사된 타우러스 미사일이 저고도에서 고속으로 비행하는 적 순항미사일을 모사했다.


먼저, 적 순항미사일 발사 징후를 식별함에 따라 긴급출격한 E-737 항공통제기가 서해상에서 저고도에서 고속으로 비행하는 미상항적을 탐지했다. 이를 체공 중인 전투기와 중앙방공통제소(MCRC: Master Control and Reporting Center)에 전파했다.


천궁-Ⅱ 지대공 미사일을 운용하는 서해안 지역 미사일방어부대가 해당 항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가운데, F-35A, KF-16 전투기가 해당 항적을 추적하며 조종사의 육안과 전투기의 파드(POD)로 미사일을 식별했다. 이어 항공우주작전본부(KAOC: Korea Air and Space Operation Center) 전술조치관의 지시에 따라 F-35A가 적 순항미사일을 모의 격추하는 데 성공했다.(공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