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연합229

“한국ㆍ미국ㆍ캐나다 해군, 다자간 연합훈련 실시 韓 서울함, 美 아메리카함, 加 밴쿠버함 참가, 9월 14일 태안 서방 서해상에서 훈련 - 전술기동훈련, 헬기 이ㆍ착함 훈련 등을 통해 연합작전수행 능력 및 상호운용성 강화 한국ㆍ미국ㆍ캐나다 해군은 9월 14일 태안 서방 서해상에서 다자간 연합훈련을 실시했다. 훈련에는 한국 해군 대구급 호위함 3번함 FFG-821 서울함, 미국 해군 강습상륙함 USS America (LHA-6)함, 캐나다 해군 호위함 HMCS Vancouver (FFH 331)함이 참가했다. 이번 훈련은 아메리카함과 밴쿠버함이 9월 15일에 실시하는 제73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 참가를 계기로 실시됐다. 3국 해군은 전술기동훈련, 헬기 이ㆍ착함훈련 등을 통해 연합작전수행 능력과 상호운용성을 강화했다. 훈련에 참가한 서울함 함장 김현석.. 2023. 9. 14.
주한미군 공병대 한국군과 강습도하 훈련 실시 대한민국 육군 K2 전차가 2023년 8월 31일 대한민국 철원 인근에서 실시된 한미 연합 강습 도하 훈련중 RIBON 부교를 이용하여 하천을 건너고 있다. 주한 미육군 제2보병사단 제11공병대대, 제2보병사단 유지여단 소속 장병들은 다양한 습지 횡단 전술, 기법 및 절차를 적용한 훈련에서 대한민국 육군 장병들과 함께 강습 도하 훈련을 실시했다. 2023. 9. 13.
한미공군 23년 연합편대군종합훈련중 공중급유받는 KF-16등 23년 한미연합 편대군종합훈련중 2023년 4월 21일, 대한민국 공군 KF-16 전폭기와 미 공군 F-16 Fighting Falcon, 미 해병대 F-35B Lightning II, 미 해병대 F/A-18 Hornet 이 미 공군 KC-135 Stratotanker 로부터 공중급유를 받고 있다. 한미 공군이 공대공 및 공대지 임무 수행을 위한 훈련을 통해 상호 운용성을 강화하고 양국 간 상호 이해와 신뢰를 구축합니다. KFT 훈련은 역내 평화 유지를 위한 한미 양국 군의 전투 준비태세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정례 훈련이다. 아래는 이글루스 블로그에 올렸던 23년 연합편대군종합훈련 관련 내용들이다. 한미공군 23년 연합편대군종합훈련, 그리고 Spotter들을 위한 조언 ​ 광주기지에서 한미간의 연합편대.. 2023. 9. 4.
한미 공군, 을지자유의 방패 일환 공대공·공대지 실사격 - F-35A, F-15K, A-10 등 동시 사격 능력과 정밀타격 능력 확인 공군과 주한 미 공군은 8월 31일 서해 해상사격장에서 공대공 및 공대지 무장 실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공군 공중전투사령부(이하 ‘전투사’) 주관으로 진행된 이날 훈련에는 우리 공군의 F-35A, F-15K, KF-16, RF-16, FA-50, F-4E 전투기와 미 7공군 제51전투비행단 소속 A-10 공격기 총 30여 대가 참가했다. 이날 사격 훈련에 참가한 양국의 기종과 무장은 다음과 같다. 1) F-35A : AIM-9X 공대공미사일 2) F-15K : AIM-9X 공대공미사일, GBU-56 공대지 폭탄 3) KF-16 : AIM-120B 공대공미사일, GBU-31·GBU-56 공대지 폭탄 4) RF-16 : GBU-3.. 2023. 8. 31.
한미일, 해상 미사일 방어훈련 실시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율곡이이함 등 한ㆍ미ㆍ일 이지스구축함 참가 -가상의 北 탄도미사일 표적에 대해 탐지, 추적 및 정보공유 등 대응 절차 숙달 -고도화되는 북한 핵ㆍ미사일 위협 대비 대응태세 및 능력 강화 한ㆍ미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는 지난 24일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북한의 어떠한 발사도 금지’하는 유엔안보리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북한 주장 우주발사체 발사 등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한미일 해상 미사일 방어훈련을 8월 29일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실시했다. 이번 훈련에 우리 해군의 이지스구축함 율곡이이함과 미국 Flight I Arleigh Burke급 이지스구축함 USS Benfold (DDG-65) 함, 일본 해상자위대 Maya급 이지스구축함 JS Haguro (.. 2023. 8. 29.
한미 연합 도시지역작전 훈련 UFS/TIGER 일환 한미 연합 도시지역작전 수행능력 향상 및 상호성 강화 대대급 도시지역작전 훈련모델 적용, FTX 통해 실효성 검증 육군 9사단은 21일부터 25일까지 경기도 파주시 도시지역작전 훈련장에서 UFS/TIGER의 일환으로 미2사단/한미연합사단 예하 스트라이커 부대와 함께 도시지역작전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한미 연합 전투수행능력 향상 및 상호운용성 강화를 위해 실시되는 것으로 전반기 FS/TIGER 간 도출된 도시지역작전 미흡과제를 보완하고 제병협동 전투수행기능과 연합전력이 통합된 도시지역작전 수행능력 배양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고 있다. 훈련에는 9사단 예하 대대와 미 보병소대 및 공병분대 장병 500여 명이 참가했으며, 전차·공병·육군항공 및 드론/UAV 등 다양한 지상·.. 2023. 8. 24.
한미 해병 KMEP 23.3 저격훈련중 확연한 복장 차이 한미 해병대원들이 매년 수차례 실시하는 연합훈련 중 Korea Marine Exercise Program 23.3가 열린 모 사격장에서 8월 4일, 양국 간 저격 사격 훈련이 있었다. 한국 해병대는 S&T Motiv K14 저격소총으로 , 미 해병대는 Mk13 Mod 7 저격 소총으로 사격을 실시하고 있다. KMEP는 한미 연합군의 상호운용성, 숙련도, 연합준비태세를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실시된다. 훈련에 참가한 미 해병대는 해병대 5사단 3대대 소속으로 부대 배치 프로그램 (Unit Deployment Program)의 일환으로 해병대 3사단 4해병연대 예하 인도-태평양 지역에 전진 배치됐다. 공개된 사진에서 저격 소총만큼이나 차이나는 것은 바로 복장 상태이다. 전투복처럼 보이는 복장을 갖추고 사격.. 2023. 8. 19.
KMEP 23.3 한미 해병 연합훈련중 박격포 사격 실시 한국 해병대원들이 8월 2일 Korea Marine Exercise Program 23.3의 일환으로 미 해병대원들과 81mm 박격포 사격을 실시했다. KMEP는 한미 연합군의 상호운용성, 숙련도, 연합준비태세를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실시된다. KMEP 23.3에 참가한 미 해병대는 해병대 5사단 3대대 소속으로 Unit Deployment Program의 일환으로 해병대 3사단 4해병연대 예하 인도-태평양 지역에 전진 배치됐다. 2023. 8. 17.
군산기지 Wolf Pack과 중원기지 은성대 F-16 전투기 쌍매훈련 미 공군 제80전투비행대대와 대한민국 공군 제162전투비행대대 조종사들이 2023년 8월 8일 중원공군기지에서 열린 한미 Buddy Squadron 훈련에서 성공적인 훈련 비행을 마친 후 손을 맞잡고 있다. 행사 기간 동안 한미 양국 전투기 편대원들은 훈련 비행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공중에서, 그리고 Ice Breaker 사교 행사를 통해 지상에서 친목을 다졌다. 충주의 중원기지에 주둔하는 19 전투비행단 예하 162 전투비행대는 8월 7일부터 9일까지 주한 미 공군 군산기지 8 전투비행단 예하 제80전투비행대와 Buddy Squadron, 일명 쌍매훈련을 진행했다. Buddy Squadron 훈련은 일련의 시나리오와 비행 임무를 통해 양국 조종사들이 공대공 및 공대지 타격 전술, 기법, 절차를 공유하고.. 2023. 8. 15.
군산기지 F-16 전투기들, 청주기지에 전개 ACE 능력 향상 훈련 주한 미공군 군산기지 8 전투비행단 예하 제35전투비행대 F-16 전투기들은 오산기지 51 전투비행단 36 전투비행대의 F-16과 더불어 청주기지에서 공군 17 전투비행단 예하 151 전투비행대의 F-35A와 쌍매 훈련을 실시했다. 사진은 7월 25일 출격하는 군산기지 F-16 Wolf Pack 들이다, 쌍매 훈련은 한반도 전역의 여러 기지에서 정기적으로 개최되어 양국 조종사들이 훈련을 통해 공유된 전술, 기술 및 절차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F-35A와 통합훈련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군은 이를 Buddy Wing 훈련에서 한단계 격하된(?) Buddy Squadron이라고 했다. 제35전투비행단은 소규모 정비사 그룹을 파견하여 신속한 전투 배치 기술을 연마하는 동시에 제35전투비행단의 모든.. 2023. 8. 3.
공군 F-35A와 군산 F-16 Wolf Pack 청주기지에서 쌍매훈련 실시 주한 미공군 군산기지 8 전투비행단 예하 제35전투비행대 F-16 전투기들은 오산기지 51 전투비행단 36 전투비행대의 F-16과 더불어 청주기지에서 공군 17 전투비행단 예하 151 전투비행대의 F-35A와 쌍매 훈련을 실시했다. 사진은 7월 25일 출격하는 군산기지 F-16 Wolf Pack 들이다, 쌍매 훈련은 양국 조종사들이 훈련을 통해 공유된 전술, 기술 및 절차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F-35A와 통합훈련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군은 이를 Buddy Wing 훈련이라고 한다. 이런 행사를 통해 양국의 전투기 편대와 정비 편대는 서로 협력하고 배우면서 전술, 기술 및 절차를 공유할 수 있다. 쌍매훈련은 지난 7월 24일부터 28일까지 (금)까지 공군의 F.. 2023. 7. 31.
“한미 해군, 연합 대잠전훈련 실시” 한미 해군은 7월 29일 제주 남방해역에서 한미 연합 대잠전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북한 잠수함 침투에 대비하여 한미 해군의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상호운용성을 증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대잠전 훈련에는 한국 해군 이지스구축함 율곡이이함, 장보고급 잠수함 이순신함, 미국 해군 핵추진잠수함 아나폴리스함(SSN-760)이 참가하여 호송작전을 수행하며 가상의 북한 잠수함을 탐색·추적·식별 등 대응절차를 숙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실시했다. 훈련에 참가한 율곡이이함 함장 김기영 대령은 “이번 훈련은 북한의 다양한 수중위협에 대한 한미 해군의 연합 대잠작전 수행능력을 증진하는 의미 있는 계기가 되었다.”며, “앞으로도 한미 해군 간의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의 .. 2023. 7. 30.
한미 연합공중훈련 쌍매훈련 F-35A 첫 참가 - 5세대 전투기의 뛰어난 성능으로 보다 효과적인 적 위협 대응 가능 - 훈련기간 서해 해상사격장서 공대지 무장 실사격 훈련도 한미 공군은 7월 24일(월)부터 28(금)까지 제17전투비행단(이하 ‘17전비’)에서 우리 공군의 F-35A 전투기와 美 8전투비행단의 F-16 등 항공전력 10여 대를 투입하여 연합작전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쌍매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쌍매훈련에는 우리 공군의 5세대 전투기인 F-35A가 처음으로 참가했다. F-35A는 뛰어난 저피탐 기능은 물론, 4세대 전력에 비해 우수한 표적탐지 및 정밀타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적의 지대공ㆍ공대공 위협을 신속하게 무력화하고 주어진 표적을 더욱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다. 한미 공군은 훈련기간 중 서해 해상사격장에서 GBU-31 합동정밀직격.. 2023. 7. 28.
종전 73년만에 고국 품으로, 한국전 유해 송환식. feat- 막대한 군사 기밀 요청 의원 보좌관이 있는 나라에 탄식만... 2023년 7월 25일 하와이 Pearl Harbor-Hickam 합동 기지에서 열린 한국전 유해 송환식에서 대한민국 최호종 상사가 신원이 확인된 삼촌의 유해를 들고 있다. Pearl Harbor-Hickam 합동 기지에서 열린 한국전 유해 송환식의 목적은 유해 송환과 한미 정전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유해 송환 노력은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 한국전 신원 확인 프로젝트 (Defense POW/MIA Accounting Agency Korean War Identification Project)의 일환이다. 다양한 출처에서 입수한 200여 구의 국군 전사자 유해가 DPAA의 실험실에 보관되어 있었으며, 여러 차례의 합동 감식과 수년간의 협업을 거쳐 2012년, 2016년, 2018년, 202.. 2023. 7. 26.
하와이에서 한국전 유해 송환식 엄숙하게 열려 2023년 7월 25일 하와이 Pearl Harbor-Hickam 합동 기지에서 한국전 유해 송환식이 열렸다. 한국전 유해 송환식의 목적은 유해 송환과 한미 정전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유해 송환 노력은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 한국전 신원 확인 프로젝트 (Defense POW/MIA Accounting Agency Korean War Identification Project)의 일환이다. 다양한 출처에서 입수한 200여 구의 국군 전사자 유해가 DPAA의 실험실에 보관되어 있었으며, 여러 차례의 합동 감식과 수년간의 협업을 거쳐 2012년, 2016년, 2018년, 2020년, 2021년 행사를 통해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대한민국으로 송환됐다. 73년만에 한국으로 돌아오는 유해는 총 7구이.. 2023. 7. 26.